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83)
패스트캠퍼스 PM강의 2주차 -(2) 1. UI/UX의 이해 - User interface : 시각적인 부분 - User experience : 사용자가 경험할 때 느끼는 모든 순간의 만족 전체 서비스기획 프로세스 1. 리서치.분석 -고객니즈파악 -시장조사, 벤치마킹 -트렌드 분석 2.요구사항정의 -추진배경,목적,목표작성 -PRD작성 -리스크 검토진행 3.기획문서 작성 -서비스 정책,프로세스작성 -IA,와이어프레임,스토리보드 등 작성 -WBS작성 4. 유관부서 리뷰 -개발, 디자인팀 리뷰 -QA팀 리뷰 5.디자인/개발 6.취약점 점검 -취약점 점검 요청 7.QA(Quality assurance) -test case 작성 8. 배포/오픈 -서비스 모니터링 -서비스 지표 관리 리서치/분석 요구사항 정의 -> 자료,담당자,제품의 주요기능명 기획문..
패스트캠퍼스 PM 강의 2주차 일잘러 PM의 특징! - 문제 해결 - 시각화 -> 말이 아니라 문제를 시각화 + 직접 자기가 리포트를 쓴다! - 책임감 -> 오너십을 가지고 일하는 사람 문제는 무엇인가? "사용자"가 느끼는 문제 -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할 전략 문제 -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할 제품 문제 - 제품 문제를 해결할 프로젝트의 문제! - 프로젝트 문제를 해결할 조직문제! -> 돈, 조직내의 비전이 맞지 않는다 등 - 제품 문제가 숨겨진 데이터의 문제 문제 =/= 질문 구체적 추상적 접근 O 정답 X 해결보고 액션 아이템 시각화란? - 정리 : 요약, 핵심 -> 표, 다이어그램, 마인드맵 - 설계 : 디자인, 분석 -> 사용자 스토리, 고객여정, 인포메이션 아키텍쳐, UX설계서, 데이터 시각화 - 프레임워크 : 방향, 순서, ..
패스트캠퍼스 PM 강의 1주차 1강 * 프로덕트 매니저의 직무 요약 :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과 방법을 찾아 실현해 내는 사람 * 사일로 매니징과 디자인 중심의 사이에서 일을 하는 것! 시대의 필요에 맞춰서 역할이 변해가는 중... * 초기 고객중심의 브랜드 맨 -> 제품중심 프로젝트별 진행자 -> IT! -> 개발+기획 -> 애자일+고객중심의 스토리까지 * 매니저는 전략, 장기적 기획 / 오너는 정확하게 뭘 만들지! -> 위계 커리어순서 딱 떨어지는 역할은 없음! -> 차이보다 공통점이 더 많음! -> 본질과 원칙을 갖고 유연하게! Q. 읽어보기 - 한국형 프로덕트오너의 탄생론 https://brunch.co.kr/@windydog/592 한국형 K-Product owner의 탄생론 어쩌다가 차이가 발생됐는지 알아보자 |..